'농업인의 날'에 대한 소회(所懷).
'농업인의 날'에 대한 소회(所懷).
  • 괴산타임즈
  • 승인 2020.11.23 10: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관표 전 괴산군의장
홍관표 전 군의장.
홍관표 전 군의장.

11월 11일은 '농업인의 날'이다.

1995년. 무역장벽을 없애기 위한 목적으로 세계무역기구(WTO)가 출범한 이래 어려운 현실에 당면한 농민의 사기를 북돋우고 농업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제정된 날이다.

25년이 지난 지금. 

우리의 농촌 현실은 어떠한 변화가 있었을까?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도시가구의 소득은 6,616만원으로 농가소득 4,118만원에 비하여 2,500만원 정도의 도ㆍ농간 소득격차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농가소득은 도시가구소득의 62%로 WTO 출범당시 96%로 비슷했던 소득 비율이 25년이 경과한 지금 도농간 소득격차는 오히려 심화 되었음을 의미한다.

농업인구도 1990년 666만명에서 작년 224만명으로 3분의 1토막이 났으며 그 중 65세 이상의 고령농가의 비중도 46.6%로 농촌의 경쟁력과 생산성 향상에 심각한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농민이 생각하는 농촌의 현실은 어떠할까?

한 국회의원이 조사한 '2020농업인 의견조사' 보고서에서 농촌주민 가운데 '지금 생활에 만족스럽다'고 답한 사람은 37.3%이며 농촌지역 주민의 72.8%가 '도시에 비하여 생활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한국농업의 발전가능성에 41.1%가 '비관적'이라고 응답 하였다.

농업과 농촌의 미래를 부정적으로 평가 한 것이다.

이러한 현실속에서 25회 '농업인의 날' 기념식은 청와대에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치러졌다.

농촌을 사람과 환경이 공존하고 문화가 부흥하는 곳으로 탈바꿈 하겠다는 '농촌르네상스 프로젝트'와 밀과 콩의 자급률을 높여 주요곡물의 공급기반을 확보한다는 '국가식량계획'을 밝혔다.

'농촌공간계획'을 수립하여 환경을 해치는 시설의 이전, 철거로 환경,경관,문화를 보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여 농촌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은 각종 폐기물(소각)처리 시설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농촌에서 눈여겨 볼 대목이다.

18개월의 임기를 남겨 놓은 상황에서 농촌을 탈바꿈 하겠다고 밝힌 대통령의 의지가 말잔치로 끝나서는 안된다.

3%이하로 책정된 농업예산의 상향조정과 '고향세'의 신설등 농촌에 활기를 불어 넣을 수 있는 정책적 뒷받침과 함께 국회, 광역, 지방의원등 정책입법기관의 역할과 농민들의 참여와 관심이 따라 주어야 한다.

'농업인의 날'은 농민의 날이다.

농촌의 경관을 가꾸고 생태환경을 보전하는 등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과 파종부터 수확까지 거역할 수 없는 자연의 섭리를 감내해 가며 생명산업을 가꾸어 온 농민의 존재가치를 인정받는 날이다.

농민의 잔칫날이 되어야 하는 농업인의 날.

그런데 언제부턴가 행사는 있고 농민은 없었다.

몇명의 수상자와 함께 하는 그들만의 잔치였다.('코로나19'와 연계하지 말자.)

더 벌어진 도ㆍ농간의 소득 격차와 가속화되는 농촌의 공동화 현상은 무엇을 의미할까?

농업의 미래를 여는 참신한 정책의 제안, 농정발전을 위한 토론 등 의원들과 농업ᆞ농촌 전문가, 농민들이 함께 하는 격렬(?)하고도 진지한 '대화의 장'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그들을 위해 멍석을 깔아 놓자.

그리하여 농촌의 미래를 스스로 부정한 많은 농민들에게 그들의 존재가치를 찾아 주자.

17년만에 대통령은 농민을 찾았다.

25살 성년을 맞이한 '농업인의 날'에 대통령의 메시지는 참으로 오랜 시간 외면 당해 온 농민들의 자존심에 위로가 되어야 한다.


  • 충청북도 괴산군 관동로 193 괴산타임즈
  • 대표전화 : 043-834-7008 / 010-9559-6993
  • 팩스 : 043-834-7009
  • 기사제보/광고문의 : ssh6993@hanmail.net
  • 청소년보호책임자 : 노원래
  • 법인명 : 괴산타임즈
  • 제호 : 괴산타임즈
  • 등록번호 : 충북 아 00148
  • 등록일 : 2014-12-29
  • 발행일 : 2014-12-29
  • 발행인 : 노원래
  • 편집인 : 노원래
  • 괴산타임즈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괴산타임즈.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sh6993@hanmail.net
ND소프트